컨텐츠 바로가기
올바로 병원은 각 분야별 전문 의료진들이 환자 중심의 진료를 해드리고 있습니다.

척추질환

분야별 전문 지식

척추는 목과 등, 허리, 엉덩이, 꼬리 부분에 이르기까지 주요 골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뼈입니다.

척추질환은 나이에 상관없이 발생합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척추가 퇴행할 수는 있으나 반드시 중장년층에만 발생하는 질환은 아닙니다. 증상이 약하거나 초기일 경우 약물치료, 통증치료, 물리치료 등과 함께 안정을 취하면 되지만, 신경학적 결손이 뚜렷하거나 악화될 경우, 일상생활에 큰 불편 등이 나타나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추간판탈출증(디스크)

흔히 디스크라고 불리는 병입니다.

척추와 척추 사이에있는 추간판의 가장자리에 있는 섬유륜에 균열이 발생하고, 여러가지 이유로 이 틈새로 추간판의 수핵이 탈출하여 신경을 압박하여 허리의 통증과 방사통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추간판탈출증(디스크) 증상

1. 20–40대사이의 남성에 많으며 허리의 통증과 다리쪽으로 뻗치는 방사통이 주증상입니다.

2. 초반에는 허리 통증이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리가 당기고 저린 경우가 많습니다. 요통이 있고 난 뒤에 방사통이 생긴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요통없이 방사통만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하지 부위의 감각 저하와 무릎, 발목, 엄지발가락의 근력 약화가 올 수 있습니다.

추간판 내장증

추간판 탈출(디스크)로 신경이 압박되어 오는 통증이 아닌, 추간판 내부의 구조 및 대사기능의 지속적이고(4개월 이상) 심한 요통과 하지 방사통이 오는 질환입니다.

추간판 내장증 원인

외상에 의한 추간판 손상 후 추간판에서 자극성 단백질 분해 대사물이 척추관 내로 유출되어 신경을 자극하고 면역반응을 일으켜 요통과 방사통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척추 협착증

척추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 신경근관, 추간공 등의 좁아져 신경이 눌려 요통, 신경성 간헐적 파행, 하지 통증 등의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특히, 허리뼈 5개중 4-5번 척추 사이에 많이 생기게 됩니다.

추간판탈출증 증상

발병 부위의 통증

다리와 엉덩이 부위의 통증(허리)

기온이 낮을 때 통증이 자주 오는 현상

보행시 통증

추간판탈출증 종류

선천성

퇴행성

혼합형(선천성+퇴행성+디스크 등)

척추분리 또는 전방전위성

외상성

수술후성

TOP